티스토리 뷰

한국부동산원 R-ONE 사이트

아파트 가격이 급등락할 때는 그 마다의 이유를 찾는 뉴스가 정신없이 쏟아진다. 이럴 때일수록 데이터에 집중하도록 하자.  각 데이터 자체가 맞다 틀리다 혹은 늦게 반영된다는 불만이 있을 수 있으나, 그 데이터가 공신력있는 기관에서 같은 기준으로 작성된다면 그 추세만큼은 신뢰를 해도 좋다고 본다. 그런 측면에서 한국부동산원 자료는 충분히 신뢰할 수 있겠다. 부동산은 그 변화량이 주식만큼 숨가쁘지는 않다. 그러니 부동상원의 주간동향이면 흐름을 읽을 수 있는 자료로 판단하고, 필자는 여기에 더해 데이터로 설명하는 전문가분들(예, 한문도 교수, 김경민 교수 등)의 의견을 참고하고 있다. 이 자료들로 2023년 2월 첫째 주의 서울 아파트를 살펴보자.

 

부동산 데이터의 기본 한국부동산원

한국부동산원의 전신은 한국감정원으로 2020년 '한국감정원법'이 '한국부동산원'법으로 개정에 따른 것으로, 기관 설립 목적으로 '부동산 시장의 조사ㆍ관리 및 부동산의 가격 공시와 통계ㆍ정보 관리 등의 업무'를 명시하고 있다. 가격 동향을 조사하여 부동산원 홈페이지에 부동산통계뷰어(R-ONE) 사이트를 통해 공시하고 있다.  해당 사이트에서는 지가, 주택, 공동주택, 상업용부동산, 오피스텔 등의 동향 및 지수로 표현하여 제공한다. 대다수분들은 주거 특히 아파트에 관심이 있으니, <주간아파트동향>을 참고하길 권한다. 

 

2023년 2월 서울 아파트 데이터

2월6일 부동산원 자료에 따르면 서울은 매매가격지수 0.31%하락이다. 이는 전주 0.25%하락보다 커진 것으로 다시 하락세가 커질 우려를 낳고 있다. 특히, 작년 12월 이후 한달여 하락폭을 줄여오던 터였다. 그럼 매매 가격을 뒷받침하는 전세가격지수를 보자. 0.95%하락으로 지난달 0.96%대비 아주 약간 줄었다. 그냥 보합이라 봐야겠으나, 이 역시 작년12월 1.22%하락 이후 차츰 줄여오던 추세가 멈추거나 혹은 향후 낮아질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월별 거래량을 보자. 부동산원의 아파트 월별 거래자료가 좀 아쉽다. 아직 2023년 자료는 없고 2022년 12월까지 뿐이다. 아쉬워하지 말고 <서울부동산종합광장>으로 가서 부동산거래현황 자료로 확인할 수 있다. 계약을 하면 한달 안에 실거래 신고를 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서울시 자료는 신속성은 좋은 반면, 아직 반영안된 수치가 있을 수 있다. 이를 감안하더라도,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오늘(2/10일) 현재 1월 1066건이고, 작년 상반기와 하반기는 월평균 각각 1300여건, 680건이다. 작년 하반기 대비 올 1월에 무려 50% 이상 거래량이 늘어난 셈인데 이에 대해 분석하고 향후 전망을 살펴 보자. (아래 표에 서울부동산종합광장에서 조회한 아파트 월별 거래량 데이터 참조. 2023.2.10기준)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1월 3,741 12,588 1,730 6,508 5,764 1,098 1,066
2월 5,743 9,199 1,459 8,300 3,841 820 118
3월 8,611 9,438 2,283 4,420 3,741 1,426  
4월 9,376 4,504 3,051 3,034 3,654 1,750  
5월 14,852 4,717 4,415 5,594 4,910 1,738  
6월 12,855 5,257 6,930 15,623 3,945 1,067  
7월 14,935 7,045 8,837 10,661 4,680 648  
8월 5,132 15,037 6,618 4,953 4,064 715  
9월 6,867 7,215 7,030 3,757 2,693 608  
10월 6,308 3,302 11,588 4,340 2,198 560  
11월 8,137 1,778 11,509 6,296 1,362 733  
12월 8,549 1,593 9,634 7,499 1,127 836  
합계 105,106 81,673 75,084 80,985 41,979 11,999  
월평균 8,759 6,806 6,257 6,749 3,498 1,000  

 

서울 아파트 전망

안그래도 오늘 뉴스를 보다보니, 정부 규제 완화 이후 반등하던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가 6주만에 꺾였다는 분석 기사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한문도 교수님의 유투브를 며칠 전 봤다. 부동산 시장을 요약하는 내용으로 위 지수와 거래량을 해석해 주는 공감 가는 영상이다. 교수님 설명에 따르면, 1월 아파트 거래량이 늘어난 것은 '특례보금자리론'의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다. 그 동안, 서울 일부 지역이라도 고점대비 반값으로 떨어진 곳이 있고, 그 전에 남들 아파트값 올라가던 것만 보며 벼락거지 입장에 놓였던 무주택자들이 눈여겨 봤던 단지들을 특례보금자리론의 혜택을 보고 있다는 분석이다. 아울러 이 금융혜택의 지속성은 그렇게 높지 않을 거란 분석이다. 왜냐하면 이 대출은 고정금리로 5억까지 대출할 수 있으나 그 주택 대상이 9억원 이하 주택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많이 떨어진 곳 위주로 거래가 늘어날 수 있으나 이것으로 가격이 회복하고 아파트 매수 심리가 확 바뀔 것으로는 내다보지 않았다. 거래량에 대해서도 한마디 있었는데, 서울 아파트는 월평균 3000건 정도는 넘어야 정상 범주에 들어온 것으로 제시했다. 향후 전망에 고려할 몇가지를 짚어 보자. 주택담보대출 금리 하락이 지속되어 3%대로 접어 들었다는 뉴스가 있어 소개한 적 있다. 부동산PF 리스크이 현재의 분양 불확실성과 이런 리스크 지속이 장기적인 공급 부족 원인이 될 수 있다고도 설명하였다. 이번에 지수와 거래량을 그리고 미국 기준 금리 영향을 보건데, 올 하반기쯤이 서울 아파트는 바닥으로 조심스럽게 예측한다. 지속적인 데이터 확인으로 내 집 마련의 기회를 적극 확보하자.

최근에 올라온 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